Yuni Devlog
[JSP]DB연동
JSP 2022. 8. 10. 12:10

HttpServletRequest클래스의 getParameterNames메서드 [ex] 아래와 같이 요청했을때 파라메터의 이름만 화면에 출력하는 문장을 작성하기. 단, HttpServletRequest클래스의 getParameterNames메서드를 이용해야한다. http://localhost:8282/project2/t1.jsp?a=100&b=200&c=300 a b c [an] HttpServletRequest클래스의 getParameterMap메서드 http://localhost:8282/project2/t2.jsp?a=100&b=200&c=300&c=400 위와 같이 요청했을때 아래와 같이 Map에 저장된다. map.put("a",new String[]{"100"}); map.put("b",new ..

[JSP]Server에서 Client로 JSON데이터 전송하기
JSP 2022. 7. 7. 10:55

🧐JSON? Server와 Client는 JSON을 통해서 통신하는데, JSON은 객체와 배열을 그대로 전달할 수 있다. Server에서 JSON형태로 Client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. 예제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자 ! [ex] JS내장객체 Object객체의 keys메서드 [ex] 주석처리부분을 loop문으로 변경하기 - t1.jsp - t2.jsp [an] - t1.jsp function addFunc(){ let obj={"id":"","pw":"","addr":"","tel":""}; Object.keys(obj).forEach( key => obj[key]=document.querySelector("#"+key).value ); list["member_list"].push(obj); docu..

[JSP]Client에서 JSON형태의 Parameter보내기
JSP 2022. 7. 7. 10:43

🧐JSON? Server와 Client는 JSON을 통해서 통신하는데, JSON은 객체와 배열을 그대로 전달할 수 있다. Client에서는 JSON형태로 Parameter를 보낼 수 있다. 예제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자 ! [ex] http://localhost:8282/project3/t1.jsp 위와 같이 요청하면 텍스트와 버튼이 나타난다. "전송" 버튼을 누르면 URL이 아래와 같이 변경된다. http://localhost:8282/project3/t2.jsp?member={"id":"aa","pw":"11"} 서버쪽 콘솔창에 아래와 같이 출력되게 하기 {"id":"aa","pw":"11"} [an] - t1.jsp - t2.jsp 🧚🏼‍♀️ JSONObject 라이브러리에서는 { } 1개를 JSON..

[JSP]HttpServletRequest
JSP 2022. 6. 24. 21:20

🧚‍♀️request 기본 객체의 요청 파라미터 관련 메서드 : 웹브라우저가 전송한 파라미터를 읽어올 수 있는 메서드를 제공하고 있다. 메서드 리턴타입 설명 getParmeter(String name) String 이름이 name인 파라미터의 값을 구함. 존재하지 않으면 null을 리턴함. getParameterValues(String name) String[] 이름이 name인 모든 파라미터의 값을 배열로 구함. 존재하지 않으면 null을 리턴함. Enumeration Enumeration 웹 브라우저가 전송한 파라미터의 이름 목록을 구함. Map Map 웹 브라우저가 전송한 파라미터의 맵을 구함. 맵은 쌍으로 구성됨. 다양한 예제 코드를 통해 연습해보도록 하자 ! getParmeter(String n..

[JSP]MVC Pattern : 톰캣 켰을 때 초기화 하는 작업, 사용자가 요청했을 때 일어나는 과정
JSP 2022. 6. 20. 11:22

톰캣을 켰을 때 먼저 web.xml문서를 읽는다. web.xml에서 load-on-startup을 양수 값으로 주면, DispatcherServlet.java의 init()가 호출된다. init()는 모든 properties파일을 톰캣이 다 읽어서 메모리에 올리게 한다. 그 모습은 map이고, 즉 properties는 map으로 매치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. 그리고 사용자가 요청을 보냈을 때, DispatcherServlet.java의 doGet(또는 doPost)메서드를 실행한다. init() : 톰캣 켰을 때 초기화 하는 작업 🗨️톰캣 켰을 때 init()가 호출 → init()에는 ApplicationContext와 SimpleUrlHandlerMapping 객체 생성하는 로직이 있다. 🗨..

[JSP]MVC Pattern 정리(2)
JSP 2022. 6. 16. 10:00

Jsp MVC패턴을 공부하면서 전체적인 흐름에 대해 공부한 것을 정리해보았다 ! http://localhost:8282/MVC1/menu.html 1. doGet메서드 호출 Cotroller controller=simpleUrlHandlerMapping.getController(applicationContext); //simpleUrlHandlerMapping에서 getController데리고와서 내부적으로 //applicationContext주소값을 요구 --> bean객체 가지고옴 ModelAndView mav= controller.handleRequest(); //컨트롤러 얻어와서 추상메서드handleRequest 호출, 받아오는 것은 ModelAndView 💫ServiceFacade : 업무와 관..

article thumbnail
[JSP]MVC Pattern 정리(1)
JSP 2022. 6. 16. 09:30

Jsp MVC패턴을 공부하면서 전체적인 흐름에 대해 공부한 것을 정리해보았다 ! [ 참고 ] 톰캣은 켜자마자 Servers 프로젝트안에 환경변수 문서부터 읽는다. *현재 MVC파일에서* web.xml에서 Servlet은 2개다(main과 member 있기 때문) Servlet 태그가 2개라는 것은? DispatcherServlet의 객체가 2개라는 것 ! 그리고 init()가 각각 순서대로 2번 호출된다 !! 또 ApplicationContext 객체는 2개 DispatcherServlet가 가지고 있는 메서드? 처음 init() 실행 → 요청이 오면 doGet() [ 또는 doPost() ] → 마지막에 사라지면 destroy() 실행 톰캣 켰을 때 init() 호출되게 하려면? web.xml에서 lo..

[JSP]Servlet(서블릿) 정리
JSP 2022. 6. 15. 11:14

jsp를 공부하면서 처음 어려웠던 부분이 서블릿이였는데, 저 나름대로 공부하며 정리했던 내용인데 올려봅니다 ! 💎Servlet 🔹웹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클래스 🔹Servlet이 되기 위해서는 Httpservlet을 상속받아야 한다. 🔹a.jsp —> a_jsp.java( _jspService() )를 만드는 것을 서블릿(이건 톰캣이 함) 💎생성하기 🧙🏻‍♂️ 1. HttpServlet 상속받는 서블릿 클래스 생성 : 패키지와 클래스명을 입력한 뒤 생성 src -> New -> Servlet 2. web.xml 작성 Test1 a.b.Test1 1 Test1 /Test1 3. 서블릿 클래스의 doGet() 내용 작성 protected void doGet(HttpServletRequest re..

검색 태그